• 2025. 2. 21.

    by. 스토리 레인



    기초생활수급자는 기본적인 생계유지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기치 않은 경제적 어려움이나 위기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되는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긴급 의료비 지원, 공과금 감면, 월세 지원금, 난방비 지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

    1.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신청

    갑작스러운 실직, 질병, 재해 등으로 생계가 곤란한 경우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

     

     

    🔹 신청 자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이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 주 소득자의 실직, 중대한 질병, 사망 등 긴급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 갑작스러운 소득 감소로 생계가 곤란해진 경우

     

    🔹 지원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1인 가구 : 월 765,444원
    • 2인 가구 : 월 1,258,451원 이하
    • 3인 가구 : 월 1,608,113원 이하
    • 4인 가구 : 월 1,951,287원 이하

      최대 6개월
       동안 지원 가능

    각 가구의 인정액이 해당 금액 이하일 경우 생계급여를 보낼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2. 신분증, 소득 증빙 서류, 긴급 상황을 입증할 자료 제출을 필요합니다.
    3. 긴급 상담 및 현장 확인 후 지원 결정이 이루어집니다.

     

    🔹 주요 변경 사항

     

    • 자동차 배꼽 기준 : 기존 1,600cc 미만, 200만 원 표시 차량에서 2,000cc, 500만 원 거주자 차량으로 표시되었습니다.
    • 부양의무자 기준 C : 부양의무자의 연 제휴 기준이 1억 원에서 1.3억 원으로, 일반재산 기준이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으로 조정되었습니다.
    • 근접·사업 소득 공제 확대 : 기존 75세 이상에게 적용 20만 원 + 30% 추가 공제65세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유의 사항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일회성 지원으로, 동일 사유로 재신청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 신청 후 심사 기간 동안 생계비가 우선 지급될 수 있습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 긴급 의료비 지원

     

    예상치 못한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의료비 부담이 클 경우 긴급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

     

    🔹 지원 대상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중 중대한 질병, 상해를 입은 가구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 치료비 부담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경우도 가능합니다.

     

    🔹 지원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입원비, 수술비, 중증질환 치료비 등 의료비 지원 신청이 가능합니다.
    • 연간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까지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병원 사회복지사와 상담 후 관할 주민센터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 진단서, 치료비 영수증, 소득 증빙 서류 제출을 필요합니다.

     

    🔹 팁: 의료비 절감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의료비 본인 부담 상한제 활용 (연간 의료비 일정액 초과 시 환급)
    • 약제비 본인 부담금 지원 프로그램 확인

     

     

    3. 기초생활수급자 공과금 감면 혜택

    기초생활수급자는 공과금 감면 혜택을 통해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

     


    🔹 혜택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전기요금 감면: 월 최대 16,000원까지 가능합니다.   - 한국전력센터 (국번 없이 123 )
    • 가스요금 감면: 최대 30% 할인이 가능합니다. - 한국 도시공사 홈페이지 https://www.kogas.or.kr/ 
    • 통신비 감면: 기본료 및 통화료 할인이 가능합니다. - 이동통신사 국번 없이 114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 신청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관할 주민센터 방문 또는 공과금 고객센터 전화 신청이 가능합니다.
    • 수급자 증명서 제출 필요합니다.

     

    🔹 주의사항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감면 신청은 연 1회 갱신이 필요합니다.

    감면 혜택은 사용량에 따라 차등 적용되고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4. 기초생활수급자 월세 지원금

    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월세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 지원 대상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임차 가구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인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자가 가능합니다.
    • 전·월세 거주자 모두 해당 가능합니다.

     

    🔹 지원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월 최대 30만 원까지 월세 지원이 가능합니다.
    • 지역별, 가구 수에 따라 지원 금액 상이하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 임대차 계약서, 소득 증빙 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

     

    🔹 참고 사항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임대차 계약서에 기재된 주소지와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동일해야 함
    • 주거급여와 중복 신청 불가합니다.

     

     

    5. 기초생활수급자 난방비 지원

     

    겨울철 난방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난방비 지원이 제공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기초생활수급자 생활안정과 긴급지원

     

    🔹 지원 대상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면 신청가능합니다.
    • 난방비 부담이 큰 저소득 가구이면 가능합니다.

     

    🔹 지원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동절기(12월 ~ 3월) 동안 난방비 지원이 가능합니다.
    • 도시가스 요금, 등유 구입비, 연탄 지원이 가능합니다.
    • 월 최대 20만 원 지원이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관할 주민센터 또는 난방비 지원 고객센터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정부 24 홈페이지 https://www.gov.kr/

    • 수급자 증명서, 난방비 영수증 제출이 필요합니다.

     

    📌 마무리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비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의료비 지원, 공과금 감면, 월세 지원, 난방비 지원 등을 꼼꼼히 확인하여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해당 혜택을 빠르게 신청해 생활의 안정을 찾길 바랍니다!

    또 다른 생활안정지원금도 확인해 보세요